넷플릭스 요금 폭탄! 광고 안 보면 최소 13,500원부터?
OTT 서비스의 대표 주자, 넷플릭스가 드디어 요금제를 손봤습니다. 2025년 5월 9일부터 일부 요금제가 최대 27%까지 인상되며,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에도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경된 넷플릭스 요금제를 전/후로 비교하고, 어떤 이용자에게 어떤 요금제가 적합할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개편 핵심 요약
- 적용일: 2025년 5월 9일부터 (신규 가입자 기준)
- 인상 대상: 광고형 스탠다드 / 베이식 요금제
- 변경 없음: 스탠다드 / 프리미엄 요금제
-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 인상폭: 27%
- 베이식 요금제: 신규 가입 불가, 기존 이용자에만 인상 적용
변경 전후 요금제 비교표
광고형 스탠다드 | 5,500원 | 7,000원 | ▲ 27.3% | 2명 | FHD | 광고 포함, 신규 가입 가능 |
베이식 | 9,500원 | 12,000원 | ▲ 26.3% | 1명 | HD | 신규 가입 불가, 기존 유지자만 |
스탠다드 | 13,500원 | 13,500원 | 변동 없음 | 2명 | FHD | 무광고, 가격 유지 |
프리미엄 | 17,000원 | 17,000원 | 변동 없음 | 4명 | UHD | 가격 유지, 최대 4명 이용 |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1. 무광고 요금제의 진입 장벽 상승
광고가 싫어서 무광고 요금제를 찾는 사용자라면, 기존 9,500원이었던 ‘베이식’이 12,000원으로 인상되면서 부담이 커졌습니다. 이제 무광고로 이용하려면 최소 월 12,000원 이상을 지불해야 합니다.
2. 광고형 스탠다드, 여전히 가성비?
광고 수용이 가능하다면 월 7,000원의 ‘광고형 스탠다드’는 여전히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동시 시청 2명, FHD 화질을 제공해 커플이나 가족 사용자에게 적절합니다.
3. 기존 사용자, 다음 결제 주기부터 인상
이미 넷플릭스를 이용 중이라면, 인상은 즉시 적용되지 않습니다. 넷플릭스는 개별 공지 후, 다음 결제일부터 새로운 가격을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뉴스
또 올린거야? 어디까지 올릴거야?…“한국에 고맙다”던 넷플릭스 요금 인상 - 매일경제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가 요금제 가격을 인상한다.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목적이지만 이전에도 요금제 손질이 이뤄진 터라 구독자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9일 넷플
www.mk.co.kr
마무리: 지금이 요금제 점검 타이밍!
넷플릭스의 이번 요금제 인상은 단순한 가격 변화를 넘어, 소비자 행동과 구독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이슈입니다. 사용 중인 요금제를 다시 한 번 점검해보시고, 사용 패턴에 따라 최적화된 플랜으로 전환해보세요.
여러분은 이번 요금제 인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